JPQL 3

6. 데이터 접근 기술 - Querydsl

이 글은 배민 기술이사 김영한 이사님의 인프런 강의 "스프링 DB 2편 -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"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문제 시 삭제 조치하겠습니다. 아래와 같은 순서로 공부를 진행합니다. Querydsl 소개1 - 기존 방식의 문제점 Querydsl 소개2 - 해결 Querydsl 설정 Querydsl 적용 1. Querydsl 소개 1 - 기존 방식의 문제점 기존 방식의 문제점 Querydsl 을 사용하기 전 JPA 을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부터 정리해 봅시다. QUERY의 문제점 QUERY는 문자이므로 Type-check 가 불가능합니다. 또 실행하기 전까지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. JPA에서 QUERY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었습니다. 1. JPQL(HQL) 장점 SQL QUERY와..

5. 스프링 데이터 JPA(2) - 적용하기

이 글은 배민 기술이사 김영한 이사님의 인프런 강의 "스프링 DB 2편 -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"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문제 시 삭제 조치하겠습니다. 이전 글 스프링 데이터 JPA(1) ( https://sh1mj1-log.tistory.com/106 )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. 실제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겠습니다. 4. 스프링 데이터 JPA 적용 1 먼저 스프링 데이터 JPA 을 적용하기 전에 설정부터 해줍니다. 설정 build.gradle 추가 //JPA, 스프링 데이터 JPA 추가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 그런데 이미 이전 글에서 JPA를 설정하면서 spring-boot-starter-data..

5. 스프링 데이터 JPA(1) 소개와 기능

이 글은 배민 기술이사 김영한 이사님의 인프런 강의 "스프링 DB 2편 -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"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문제 시 삭제 조치하겠습니다. 아래와 같은 순서로 공부를 진행합니다. 스프링 데이터 JPA 소개1 - 등장 이유 스프링 데이터 JPA 소개2 - 기능 스프링 데이터 JPA 주요 기능 이전 글에서 자바, 스프링에서의 데이터 접근 기술에 대해서 정리했었습니다. SQL Mapper 와 ORM 기술에 대해 알아 보았고 https://sh1mj1-log.tistory.com/99 바로 이전 글에서는 JPA 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. https://sh1mj1-log.tistory.com/104 1. 스프링 데이터 JPA 소개1 - 등장 이유 이제는 스프링 데이터 JPA 에 ..